심리학9 화를 다스리는 현명한 방법: STOP 스킬 여러분은 가끔 속에서 '화'가 치밀어 오르는 상황일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크든 작든 화(Anger)가 나거나 스트레스(Stress, Distress)를 받는 등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합니다.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러한 감정을 잘 다스리고 표현하는 방법은 배우기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요즘 화가 자주 나는 것 같은 분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들, 내 화를 더 잘 다스리고 싶으신 분들이 알면 좋은 'STO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STOP' 스킬 STOP 스킬은 네 가지 핵심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행동 지침으로, DBT Skills Handouts and Worksheets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 2022. 10. 17. 바이링구얼(Bilingual; 이중언어자)의 인지적 장점 이중 언어 사용(Bilingualism)에 대한 초기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이중 언어 사용의 단점에 대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면, 어린아이들이 이중 언어를 사용하면 정신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연구나, 단일 언어를 사용하는 어린이에 비해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의 지능검사 점수가 낮다는 연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변인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은 연구들이 많기 때문에 지금은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최근 연구들은 이중 언어 사용에 인지적 장점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중 언어 사용을 통해 언어 기능 외에도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 Executive Control)이 향상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 인지 기능 중에서.. 2022. 10. 12. 바이링구얼(Bilingual; 이중언어자)과 치매 바이링구얼(Bilingual; 이중언어자)은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많은 분이 바이링구얼은 두 언어 모두 네이티브처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이라고 알고 계시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언어학과 언어심리학에서는 두 가지 언어를 구사할 줄 알고 생활 속에서 비중은 다르지만 두 언어를 사용한다면 바이링구얼에 해당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토종 한국인이지만 영어를 배운 사람이 대학교에서 영어 강의를 듣는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한다는 것이죠.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바이링구얼이 머릿속으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두 언어를 조절하며, 이러한 생활 방식이 뇌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에 많은 학자가 뛰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두 가지 .. 2022. 10. 11. MRI의 구조 (feat. fMRI) 오늘은 MRI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MRI는 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기공명영상이라고 합니다. 최근 심리학계에서도, 특히 관련 신경과학과 뇌과학 분야에서는 뇌의 신경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MRI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MRI와 fMRI는 어떻게 다른지 간략하게 알아보고, MRI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MRI와 fMRI의 차이 MRI 뇌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측정합니다. (Brain Anatomy) functional MRI (fMRI) 뇌의 기능을 알기 위해 뇌의 신경 반응을 간접적으로 측정합니다. (Brain Function) MRI 기계를 사용하지만, 해부학적인 측정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정하여 신경 반응을 간접적으로(혈류를.. 2022. 10. 7. 이전 1 2 3 다음